문화체육관광부, ‘꿈의 극단’ 홍보대사로 이순재, 전미도 등 위촉...전문가 대거 포진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확대 목표, 전국 예술단원 교류 지원 계획 발표

2024-07-16     임우경 기자
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6일 서울 성동구 소월아트홀에서 열린 꿈의 극단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문화체육관광부  K trendy NEWS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KtN 임우경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7월 16일 소월아트홀에서 열린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배우 이순재와 전미도 등 총 9명(팀)의 예술 전문가를 ‘꿈의 극단’ 홍보대사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위촉은 국내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의 저변 확대와 질적 강화를 목표로 한다.

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6일 서울 성동구 소월아트홀에서 열린 꿈의 극단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문화체육관광부  K trendy NEWS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꿈의 예술단’ 프로젝트는 기존의 ‘꿈의 오케스트라’와 ‘꿈의 무용단’의 성공적 운영을 바탕으로, 연극 및 뮤지컬 등 극예술 분야로 확장되는 중대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순재, 고선웅, 최정원, 전미도 등 국내 최고의 예술가들이 이 프로젝트의 중추적 역할을 맡게 됨으로써, 프로그램의 전문성과 교육 품질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6일 서울 성동구 소월아트홀에서 열린 꿈의 극단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문화체육관광부  K trendy NEWS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문체부 유인촌 장관은 “아이들이 예술을 통해 꿈과 희망을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말하며, “2024년 시범사업을 통해 다양한 교육 모델을 실험하고, 2025년부터는 보다 체계적이고 폭넓은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6일 서울 성동구 소월아트홀에서 열린 꿈의 극단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문화체육관광부  K trendy NEWS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프로젝트는 전국의 아동·청소년들이 다양한 극예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예술적 감수성과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대관령 음악제’ 직후 예정된 ‘꿈의 예술단 합동 캠프’는 전국의 예술 단원들이 서로 교류하고 세계적 예술가들로부터 직접 교육을 받는 등의 기회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6일 서울 성동구 소월아트홀에서 열린 꿈의 극단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뮤지컬 배우 최정원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문화체육관광부  K trendy NEWS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6일 서울 성동구 소월아트홀에서 열린 꿈의 극단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음악감독 김문정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문화체육관광부  K trendy NEWS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홍보대사들은 앞으로 전문가 수업, 무대예술 연수회, 공동 창작 프로젝트 등을 통해 아동·청소년들에게 직접 예술의 현장을 전달하고, 이들의 활동은 문체부의 유튜브 채널 및 다양한 누리소통망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와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6일 서울 성동구 소월아트홀에서 열린 꿈의 극단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연극배우 전미도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문화체육관광부  K trendy NEWS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6일 서울 성동구 소월아트홀에서 열린 꿈의 극단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공상집단 뚱딴지 문삼화 연출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문화체육관광부  K trendy NEWS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처럼 ‘꿈의 극단’ 프로젝트는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며,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밝힐 주요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아동·청소년들이 예술을 통해 자신의 꿈을 구체화하고,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