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 트렌드②] Audemars Piguet Royal Oak Perpetual Calendar

아이콘 의존 전략의 확장성과 구조적 피로

2025-11-19     임우경 기자
Here are the Winners of the 2025 GPHG Watch Awards. 사진=Audemars Piguet, 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KtN 임우경기자]2025 제네바 시계 그랑프리 GPHG에서 Audemars Piguet Royal Oak Perpetual Calendar가 아이코닉 워치 부문 상을 수상했다. 이 부문은 기술 과시보다 디자인과 문화적 존속성을 핵심 기준으로 삼는다. 따라서 Royal Oak Perpetual Calendar가 수상한 사실은 1972년 첫 출현 이후 약 50여 년간 이어진 Royal Oak의 영향력이 아직 소진되지 않았음을 확인시킨다. 그러나 동시에 Royal Oak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아졌다는 현실을 드러내기도 한다. 아이콘 전략이 강력한 수익 모델이지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구조적 부담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Audemars Piguet는 전통적인 스위스 하이엔드 워치메이커 가운데 가장 단일 라인 의존도가 높은 제조사로 평가된다. 매출 구성에서 Royal Oak 제품군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해왔고, 기술적 혁신이나 신제품 개발에서도 Royal Oak 기반 파생 전략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Royal Oak Perpetual Calendar 수상은 브랜드 전략의 연장선에 있다. 시계 산업에서 ‘지속 가능한 아이콘’ 확보는 매우 높은 진입 장벽을 가진 목표이며, Audemars Piguet는 이 점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시장 변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아이콘 전략에 집중할수록 다른 영역의 실험 기회가 축소되는 문제가 생긴다.

Royal Oak Perpetual Calendar는 오리지널 디자인 요소를 유지한다. 스테인리스 스틸 스포츠 워치에 고급 시계의 가치 기준을 결합한 구조, 통합형 브레이슬릿, 8각 베젤, 탭피스리 다이얼 패턴 등이 대표적 요소다. 퍼페추얼 캘린더 기능 역시 Royal Oak 라인에서 오랜 기간 유지돼온 고급 컴플리케이션 요소에 속한다. 기술적 측면에서 완전히 새로운 발명은 아니지만, 시인성 개선 및 경량화 설계 등 실질적인 개선이 동반됐다.

심사단은 Royal Oak의 핵심 디자인 언어가 현재 시점까지도 영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 높은 점수를 부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Here are the Winners of the 2025 GPHG Watch Awards. 사진=Audemars Piguet, 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다만 Royal Oak Perpetual Calendar의 수상이 Audemars Piguet의 전략을 완전히 긍정한 근거로는 보기 어렵다. Royal Oak 브랜드 자산은 이미 최고 수준에 도달했으며, 해당 라인에 대한 공급 제한 정책이 가격 방어와 희소성 유지에는 기여하나, 시장 접근성과 신뢰도 측면에서는 우려를 낳고 있다. Royal Oak 입문은 여전히 어려운 과정이며, 공식 채널 접근을 위한 긴 대기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유통 구조는 단기적 프리미엄 형성에는 유리하지만 소비자 경험을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Royal Oak를 둘러싼 시장 환경에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수년간 이어진 대체 불가능한 디자인이라는 인식에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 럭셔리 스포츠 워치 수요의 확산으로 경쟁 모델 수가 증가했고, 부티크 채널의 엄격한 할당 정책은 회색 시장을 키우는 결과를 만들었다. 이러한 현상은 Royal Oak에 대한 시장 신뢰도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소비자 선택 기준이 다양해지고 수요층이 분산될 경우 아이콘 전략의 위력이 약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Royal Oak Perpetual Calendar는 선두 경쟁에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울트라-씬 구조는 이미 기존 Royal Oak Perpetual Calendar Ultra-Thin을 통해 달성된 영역이다. 2025년 수상 모델은 혁신적 공정을 제시하기보다 기존 공정의 안정성을 강화한 성격에 가깝다. 기술 선도라는 측면에서 올해의 주요 혁신 경쟁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제시한 브랜드는 불가리와 독립 워치메이커에 가까웠다.
따라서 Royal Oak Perpetual Calendar 수상은 기술 시연의 승리라기보다 시장 문화와 디자인 지속력에서의 승리로 해석된다.

브랜드 확장 관점에서 Audemars Piguet는 Royal Oak 의존 전략의 균형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Code 11.59 컬렉션이 론칭 당시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면서 Royal Oak 중심 구조가 더욱 고착됐다. Code 11.59는 기술적 잠재력을 지닌 제품군으로 평가되지만 시장 판매 데이터는 Royal Oak에 비해 열세다. Royal Oak의 수요가 견고한 상황에서는 신제품군 리스크가 더욱 크게 인식된다. 그 결과 Royal Oak 반복 개발이 가장 효율적인 선택으로 굳어진다.
이 구조가 반복되면 기술 개발 우선순위가 Royal Oak 유지·보수에 집중될 수 있다. 신규 고객층과 미래 세대가 기대하는 혁신적 기능 혹은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이 후순위로 밀릴 우려도 있다.

Here are the Winners of the 2025 GPHG Watch Awards. 사진=Audemars Piguet, 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수상 결과는 Royal Oak 브랜드 가치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단기적으로는 라인업 내 수요를 더욱 안정화시키고 경매 시장에서의 거래 가격 유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수익 구조가 특정 라인에 집중될 경우 시장 충격에 대한 내성이 약해진다.

경기 변동, 수요 취향 변화, 경쟁 브랜드의 신제품 공격 등이 결합될 경우 Royal Oak 중심 전략은 급격한 리스크를 파생할 수 있다. 따라서 Audemars Piguet가 향후 시장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Royal Oak를 유지하는 동시에 새로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영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Royal Oak Perpetual Calendar 평가 요약

평가 항목 관찰 내용 시장 영향
디자인 지속성 1972년 디자인 언어 유지 브랜드 인지도 및 수요 안정화
기술 수준 기능 개선 중심, 기술 발명 비중 낮음 혁신 선도력 약화 우려
생산·공급 전략 제한적 할당 및 대기 수요 지속 희소성 유지, 접근성 저하
매출 기여도 Royal Oak 매출 비중 매우 높음 단일 라인 리스크 확대
확장 전략 신제품군 성과 제한 구조적 피로 누적 가능성
Here are the Winners of the 2025 GPHG Watch Awards. 사진=Audemars Piguet, 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oyal Oak Perpetual Calendar는 고급 시계 시장에서 디자인 아이콘 전략의 장점과 한계를 동시에 드러낸다. 기존 브랜드 자산과 시장 지위를 활용한 성장 방식은 단기적으로 중요한 성과를 제공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다양성과 기술 도약을 제한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수상 자체가 브랜드의 경쟁력을 공식적으로 확인한 결과이지만, 동시에 전략 전환을 요구하는 신호로도 읽힌다.

Royal Oak Perpetual Calendar는 다음 세대 소비자가 기대하는 ‘새로운 기준’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시험대에 올라 있다. 기존 브랜드 자산의 극대화와 기술 혁신의 필요성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Audemars Piguet의 전략 조정 방향이 관심 대상이 된다. 고급 시계 시장은 아이콘에 의존하는 전략을 언제까지 용인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기준으로 유효성 검증을 할 것인지 요구하고 있다.

Audemars Piguet Royal Oak 전략 리스크 분석

리스크 요인 구체적 징후 장기적 결과 가능성 산업 내 관찰 포인트
단일 제품군 의존도 심화 Royal Oak 매출 비중 과도 수요 변동 시 타격 확대 Code 11.59 성과 회복 여부
디자인 피로도 누적 유사 파생 모델 반복 출시 차별성 약화로 고객 이탈 가능성 신규 디자인 언어 개발 속도
회색 시장 비중 증가 공급 제한 → 병행/중고 프리미엄 과열 소비자 신뢰 저하 할당 정책 조정 움직임
혁신 역량 저하 우려 기능 개선 중심 변화 기술 선도 이미지 약화 타 브랜드 기술 경쟁 강도
신규 고객 진입 장벽 상승 공식 루트 접근 어려움 브랜드 저변 정체 온라인 소통·유통 확대 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