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기준 국내 해양산업 총 사업체 수는 1만7854개로, 전체 매출액은 약 116조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는 30일 국내 해양산업 관련 기업체 현황을 담은 '2016년 기준 해양산업 통계조사'결과를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작년 6월~올 3월까지 국내 해양산업 기업체 중 5257개의 기업체를 표본으로 매출액, 종사자수, 경영전망 등 기업 현황을 조사한 것이다. 수산업은 별도 조사로 포함되지 않았다.
2016년 기준 국내 해양산업 총 사업체 수는 1만,854개이며 해양관광업, 해운항만업, 해양건설업 등 9개 세부산업 중에서는 해운항만업이 7261개로 약 40%에 달했다. 그 뒤를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수리업은 4981개로 27.9%, 해양기기·장비제조업이 1919개, 10.7%순이었다.
2016년 기준 해양산업 전체 매출액은 약 116조 9000억 원이며, 사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연간 약 65억 원으로 파악됐다. 산업별로는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수리업이 51조4000억 원(43.9%), 해운항만업이 45조2000억 원(38.7%)으로 전체 해양산업 매출액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해양환경관리업은 1625억 원(0.14%), 해양관광업3729억 원(0.4%) 등으로 비중이 가장 낮았다.
해양산업 상용근로자 수는 약 27만 명이며 그 중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 수리업 종사자가 12만8359명으로 47.3%, 해운항만업 종사자가 7만4186명으로 27.3%를 차지해 두 산업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해수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300여 개 관련 기관에 ‘2016년 기준 해양산업 통계조사 결과보고서’를 배포할 계획이다. 또 해양수산부 누리집의 해양수산통계시스템(www.mof.go.kr/statPortal)과국가통계포털(kosis.kr)에도 게재할 예정이다.
송명달 해양정책과장은 "이번 해양산업 통계조사 결과를 세밀하게 분석하여 해양 신(新)산업 육성 정책 등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적극 활용해 나가겠다"며 "또 올해부터는 그간 별도로 추진해 오던 해양산업과 수산업 통계조사를 통합한 ‘해양수산업 통계조사’를 실시해 보다 내실 있는 통계 기반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해양산업 경영전망은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다. 업종별로는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수리업이 9.5%, 해양기기·장비제조업 7.5%, 해양관광업 7.1%, 해양전문서비스업 6.8% 등이 감소할 것이고 전망했다. 반면 해양공공서비스업(0.8%)과 해양자원개발업(0.6%)은 경영실적이 나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 기자명 이지영 기자
- 입력 2018.03.29 11:00
- 수정 2019.08.18 18:53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