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트렌드③] 렌트 속 관계 구조와 정체성 표현

[KtN 김동희기자]뮤지컬 렌트는 뉴욕 이스트빌리지에 거주하는 인물들의 관계망을 중심 구조로 삼는다. 관계 설정을 통해 정체성과 생활 조건을 설명하는 방식이 작품의 중요한 특징으로 분류된다. 각 인물은 스스로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 타인과 연결되는 선택을 하며, 그 연결은 혈연·제도 기반 관계가 아니라 생활권과 감정 교류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관계 구조는 특정 정체성을 강조하는 방식이 아니라 도시 구조 안에서 형성되는 생존 방식에 가까운 형태로 묘사된다. 작품은 정체성 차이를 갈등 요소로 활용하지 않고, 다양한 존재가 실제 생활 조건 안에서 함께 살아가는 방식을 관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크는 기록 활동을 지속하는 영상작가로 설정된다. 안정적 수입이 보장되지 않는 창작 노동자는 도시에서 지속적으로 이주 압박을 받는다. 마크가 하는 기록 작업은 창작 활동이지만 생계 유지로 이어지지 않는다. 해당 설정은 1990년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도시에서 발견되는 청년층 현실과 연결된다. 안정적인 수입원이 없는 창작자는 사회 제도 바깥에서 활동을 지속해야 한다. 마크의 서사는 예술가 정체성을 소유했으나 체계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인물의 표본으로 분류된다. 이 설정은 특정 인물을 찬양하거나 희화화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시된다.

로저는 음악을 매개로 자기 표현을 시도하는 인물이다. 로저가 겪는 건강 문제는 개인 의지와 무관하게 생활 조건을 크게 제한한다. 해당 설정은 질병 유무가 노동·주거 기회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구조를 반영한다. 로저와 미미의 관계에서도 의료 접근성 문제, 안정적 주거권 문제를 관객이 파악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미미는 공연 속에서 생계를 위해 선택한 노동 환경이 건강권에 영향을 끼치는 구조를 보여주는 인물로 해석된다. 특정 소재를 충격 요소로 소비하는 방식이 아니라 생활 조건의 일부로 기록하는 형태다.

구독자 전용 기사 입니다.
회원 로그인 구독신청
저작권자 © KtN (K trendy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