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한 시대, 관객이 직접 읽어내는 현실 감각

[KtN 김동희기자]1996년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 꾸준히 재공연되고 있는 뮤지컬 렌트가 2025년 한국 무대에 다시 오를 예정이다. 대형 라이선스 작품과 인기 배우 중심으로 흘러가는 최근 국내 공연 시장에서 렌트는 제작 방식과 작품 구성에서 다른 방향을 제시하는 콘텐츠로 평가되고 있다. 공연 제작 환경이 대규모 자본과 팬덤 중심으로 재편되는 가운데, 제작진이 렌트를 선택한 배경에는 동시대 관객이 체감하는 사회 문제와 공연 서사가 만나는 지점이 존재한다는 분석이 공연 전문가들 사이에서 꾸준히 공유되어 왔다. 뉴욕 이스트빌리지를 배경으로 제작된 렌트는 1990년대 당시 도시가 안고 있던 주거 불안, 예술가 노동의 불안정성, 질병 확산과 의료 접근성 문제, 정체성 문제를 서사 구조에 직접 배치한 작품이었다. 당시에도 현실 반영성이 높은 공연으로 주목받았지만 오늘 한국 사회 상황과 비교하면 공명 지점이 더 늘어났다. 고용 구조의 유연화, 임대료 인상, 사회적 편견과 건강권 문제 확대 등 한국 청년층이 겪는 구조적 조건과 렌트 속 등장인물의 환경은 통계·연구 자료에서도 겹치는 대목이 적지 않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통계에서 20~30대는 삶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경제 압박과 미래 불확실성을 지목했다. 렌트가 다루는 삶의 조건은 과거 특정 시대의 기록이 아니라 동시대 여러 도시에서 반복되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공연계 관계자들의 관심이 이어졌다.

뮤지컬 렌트는 스타 의존도가 낮은 작품으로 분류된다. 흥행 안전성을 위해 유명 배우 캐스팅에 기대는 최근 업계의 경향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문화산업 연구에서는 특정 작품이 재관람 관객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경우, 스토리와 음악 구성 자체가 관람 동기를 형성한다는 분석을 제시한다. 렌트가 대표적 사례에 속한다. 티켓 판매 성과에서 스타 파워가 아닌 작품 자체에 대한 충성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은 공연 시장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 요소로 거론된다. 재관람 비율이 높은 공연은 흥행 성적과 별개로 시장 안정성을 높이는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어 왔다.

초연 당시 렌트는 상업성과 예술성 사이의 균형을 새롭게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통적인 서정 뮤지컬 중심 구도 속에서 록 기반 음악과 즉흥에 가까운 무대 구성, 도시 현실을 전면 배치한 형식은 기존 공연계에서는 흔치 않았다. 미국 공연 연구 분야에서는 렌트를 기점으로 록뮤지컬 장르가 공식적으로 확장되었다고 설명한다. 음악의 거칠고 직접적인 표현 방식은 극 중 인물의 생활 조건을 미화하지 않는 서사 기조와 맞닿는다. 이 구성 방식으로 인해 관객은 극적 장치의 도움 없이 인물의 현실을 체감할 수 있다.

구독자 전용 기사 입니다.
회원 로그인 구독신청
저작권자 © KtN (K trendy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