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뒤바꾼 제작 생태계, 플랫폼이 재편한 권력 구조… 글로벌 패권 경쟁의 실제

[KtN 전성진기자]중국 웹드라마 산업은 지난 몇 년 동안 눈에 띄는 속도로 성장했다. 스마트폰 사용 증가와 고속 데이터망 보급으로 온라인 영상 시청이 일상화되면서, TV 방송 중심이었던 중국의 콘텐츠 소비 구조는 빠르게 온라인 중심으로 이동했다. 특히 웹드라마는 한때 저예산·실험 콘텐츠 정도로만 인식되었지만, 기술 발전과 플랫폼 경쟁 가속을 계기로 완전히 새로운 시장을 구축했다. 제작 기술의 비약적인 고도화, 플랫폼 중심의 유통 구조 정착, 소비자 수요 변화가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산업 체급을 키워냈다.

중국 웹드라마 시장 규모는 2018년 약 110억 위안 수준에서 2024년에 150억 위안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향후 수년 내 180억 위안 이상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복수의 시장 보고서를 통해 제기되고 있다. 단순한 성장세가 아니라 산업 주도권이 방송사에서 온라인 플랫폼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의미가 핵심이다. 텐센트비디오, 아이치이, 유쿠를 중심으로 한 주요 플랫폼 기업이 제작 단계까지 관여하며, 자본 조달과 기획, 유통 및 수익 회수 과정 전반을 통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방송사 중심 제작 구조는 무너지고 있다.

제작 효율화는 산업 확장의 가장 큰 원동력으로 평가된다. 중국 제작사는 자연어 처리 기반 AI를 활용해 흥행 콘셉트를 분석하고 스토리 구조를 자동 설계하는 시스템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수천 편의 드라마를 데이터로 삼아 관객 반응을 비교 분석하는 방식이다. 흥행 가능성이 높은 서사를 빠르게 확보할 수 있어 기획 단계의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시나리오 작가 역시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빠르게 대본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 중국 제작 현장에서 AI는 더 이상 보조 도구가 아니라 ‘상업적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기능한다.

구독자 전용 기사 입니다.
회원 로그인 구독신청
저작권자 © KtN (K trendy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