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시장이 성장의 중심으로 부상…현지화 전략과 기술 결합이 수익 구조 변화 주도

[KtN 박준식기자]CJ CGV의 2025년 3분기 실적에서 가장 뚜렷하게 드러난 변화는 수익 구조의 중심축이 한국에서 해외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국내 극장 산업의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 시장이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전사 흑자 기조를 지탱했다.

CJ CGV는 이번 분기 매출 5,831억 원, 영업이익 234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6퍼센트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7.2퍼센트 감소했다. 그러나 수익 구조의 질이 개선되고 해외 사업이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이면서 실질적인 회복 국면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CJ CGV의 해외 법인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낸 곳은 베트남이다. 베트남 법인은 3분기 매출 671억 원, 영업이익 147억 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2.2퍼센트, 영업이익은 359.4퍼센트 늘었다.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이다. 로컬 영화 ‘무아도(Mua Do)’가 8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모으며 역대 최고 흥행작으로 등극했고, 현지 콘텐츠 중심의 전략이 수익 구조 개선을 견인했다.

구독자 전용 기사 입니다.
회원 로그인 구독신청
저작권자 © KtN (K trendy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