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DX와 SCREENX가 이끄는 프리미엄 상영관 시대…기술이 흑자 체질의 핵심이 되다

[KtN 박준식기자]CJ CGV의 2025년 3분기 실적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기술 특별관’의 존재감이다. 4DX와 SCREENX로 대표되는 CJ 4DPLEX 사업은 단순한 부가사업을 넘어, 극장 산업의 수익 구조를 재편하는 핵심 축으로 자리 잡았다. 팬데믹 이후 전 세계 극장 시장이 관객 수 회복보다 관객당 수익(ARP)을 높이는 방향으로 재구조화되는 상황에서, CJ CGV의 기술 투자와 포맷 혁신은 글로벌 산업 변화에 대응하는 가장 뚜렷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CJ 4DPLEX는 2025년 3분기 매출 340억 원, 영업이익 35억 원을 기록했다. 오리지널 콘텐츠 라인업이 축소돼 전체 매출은 감소했지만, 핵심 포맷인 4DX와 SCREENX 매출은 전년 대비 56퍼센트 증가했다.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과 ‘F1 더 무비’ 등 글로벌 흥행작이 기술 특별관을 중심으로 상영되며 객단가를 끌어올렸다. 4DX와 SCREENX는 각각 전 세계 70여 개국 800개 이상 상영관에 설치돼 있고, 2025년 들어 신규 제휴 극장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

4DX는 모션체어와 바람·향기·물보라 등 20여 가지의 환경 효과를 동기화해 관객의 오감 몰입을 극대화한다. SCREENX는 좌·우·전면 3면 스크린을 확장해 시야를 넓히는 포맷이다. 두 포맷은 단순한 시청 경험을 넘어, ‘참여형 관람’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차별점을 가진다. 일반 상영관 대비 티켓 가격이 평균 30퍼센트 이상 높고, 체류 시간이 길어 식음료 매출과 굿즈 판매까지 확대되는 구조다. 극장 산업의 전통적인 고정비 중심 구조 속에서 프리미엄 포맷은 수익성 방어의 실질적 수단이 되고 있다.

구독자 전용 기사 입니다.
회원 로그인 구독신청
저작권자 © KtN (K trendy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