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투기 차단과 문화 콘텐츠 육성, 두 목표의 병행

[KtN 전성진기자]중국 정부는 NFT 시장에 대한 과열 우려를 가장 먼저 감지한 국가 중 하나다. 암호화폐 의존도가 높았던 글로벌 NFT 시장에서 투기 성격이 짙어지자, 중국 중앙정부는 암호화폐 사용 금지와 금융 리스크 차단을 핵심 기조로 확립했다. 중국 인터넷금융협회, 중국은행업협회, 중국증권업협회가 공동 발표한 NFT 관련 금융 리스크 방지 제안은 시장을 제도권으로 편입하는 공식 기준으로 작용했다 . 동시에 중국 중앙정부는 콘텐츠 산업 육성이라는 정책 목표를 확고히 유지해 왔다. 이 두 정책 방향이 결합하면서 중국 특유의 디지털 소장품 산업이 완성되고 있다.

중국 중앙정부는 NFT 투기와 가격 급등락을 유발하는 암호화폐를 결제 수단에서 완전히 배제했다. 대신 위안화 결제를 허용하고 플랫폼이 직접 IP를 확보해 상품을 발행하는 유통 구조를 도입했다 . 퍼블릭 블록체인이 아닌 컨소시엄 블록체인을 채택하여 발행과 거래의 추적과 통제를 강화했다 . 해당 구조는 사용자 민팅 중심의 글로벌 NFT 방식과 달리 IP 소유권 기반의 창작물 발행 중심으로 운영된다 . 중국 디지털 소장품은 자산 증식 도구가 아닌 합법적 문화 소비 방식으로 제도화된 셈이다 .

세컨더리 마켓에 대한 제한은 중국 디지털 소장품의 최대 특징으로 꼽힌다. 중국 내 플랫폼은 1차 판매는 허용하지만 재판매는 무상 양도 중심으로만 제한하며, 양도 가능 시점도 일정 기간 제한하고 있다 . NFT 시장의 투기적 특성을 유발했던 자유로운 재판매 구조를 차단해 금융 리스크를 원천 봉쇄한 조치다 . 이 같은 정책이 플랫폼 운영과 자금 유동성을 제약한 요소가 되었던 것도 사실이다. 텐센트는 미디어와 게임 IP를 결합한 대형 소장품 생태계를 구축하려 했으나 2차 거래 규제 강화와 내부 구조조정 과정에서 환허 서비스 종료를 예고했고, 결국 2023년 6월 사업을 중단했다 .

구독자 전용 기사 입니다.
회원 로그인 구독신청
저작권자 © KtN (K trendy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