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장 밖으로 확장된 시각 이미지
공간 이용 방식과 SNS 기록 패턴에 대한 관찰
도시 현장에서 관찰된 참여 행동
달리인문쉐도우, 호치민 거리에서 나타난 반응 변화
[KtN 박준식기자]K-콘텐츠가 해외 시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소비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현장 관찰이 필요하다. 콘텐츠가 도시 환경으로 들어가면 관람 방식이 달라지고, 시민의 참여 행동이 자연스럽게 기록된다. 캐릭터링크의 시각 IP ‘달리인문쉐도우’는 2025년 11월 호치민 K-콘텐츠 행사 기간 동안 거리와 전시 공간에서 꾸준히 포착됐다. 조태연 대표는 현장에서 시민의 반응을 직접 확인하며 프로젝트 진행 방식의 다음 단계를 준비하고 있다.
달리인문쉐도우 이미지가 처음 노출된 공간은 호치민 SECC 전시장과 인근 상업 지역이다. 전시 공간을 방문한 관람객들은 이미지 앞에서 촬영하고, SNS에 해시태그를 붙여 공유했다. 캐릭터링크가 수집한 공개 게시물에는 달리인문쉐도우의 노란 실루엣이 포함된 사진이 다수 확인된다. 이미지 중심 아트 IP가 현장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소비된다는 점이 드러난 사례다.
호치민에서 관찰된 행동 특징은 짧은 촬영, 즉각 공유다. 관람객들은 이미지와 함께 스스로 등장하는 방식으로 기록을 남겼다. 개인 계정에 게시된 사진은 친구·지인들의 반응을 끌어내며 확산이 이어졌다. 캐릭터링크는 이러한 방식이 현장 참여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콘텐츠 노출을 늘리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설명하고 있다.
관람객들이 이미지에 가까이 다가가 촬영하는 행동도 특징적이다. 이미지가 중심이 되는 프레임을 만들기보다는, 관람객의 얼굴이나 몸짓과 함께 프레임에 담는 방식이 주를 이뤘다. 이는 캐릭터링크가 추구해 온 ‘도시 속 개인 연결’이라는 지향과 맞닿는 부분이다. 도시에서 소유되지 않은 공간에 존재하는 이미지가 관람객의 일상으로 흡수되는 과정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전시장 내에서 사진 촬영이 이어지는 한편, 노출 공간과 소비 행태도 다양했다. 캐릭터링크는 호치민 중심가의 상업 공간에서도 이미지 적용을 진행했다. 거리형 간판, 인테리어 소품, 임시 설치물 등 다양한 형식으로 시각 이미지가 적용되면서 시민의 접근성이 높아졌다. SECC 행사장의 관람객과 상업 지역 소비자가 중첩되며 노출 범위가 확장되는 구조다.
시민 참여는 연령대 구분 없이 발생했다.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사진 촬영 방식과 감상 스타일은 달랐지만, 이미지에 대한 접근에는 거리감이 적었다. 이 과정에서 브랜드 인지 형성과 소비자 반응 예측을 위한 초기 데이터 역시 확보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호치민은 SNS 기반 콘텐츠 확산 속도가 빠른 도시 중 하나다. 이러한 환경적 배경이 즉각적인 기록 행동을 강화했을 가능성도 있다. 콘텐츠 업계에서는 도시별 미디어 사용 방식이 콘텐츠 수용 형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해 왔다. 캐릭터링크는 실제 현장에서 관찰한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별 확산 속도 차이를 비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조태연 대표는 프로젝트 진행 동안 전시장과 거리에서 직접 시민 반응을 확인했다. 조 대표는 “호치민 현장에서 사진 촬영과 공유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흐름은 이미지 기반 콘텐츠가 도시 커뮤니케이션과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관찰은 향후 지역별 콘텐츠 적용 방식 조정에 참고될 전망이다.
스톡홀름 사례도 비교 지점으로 분석된다. 스톡홀름 노출은 광장 중심의 공공장소에서 이뤄졌다. 시민 참여는 촬영보다 감상 중심으로 나타났고, 개인 기록보다는 관찰에 가까운 태도가 주로 확인됐다. 호치민에서 나타난 즉각적 공유와는 다른 수용 방식이다. 두 도시의 소비 문화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사례로 기록된다.
전시장 내부뿐 아니라 이동 동선에서도 이미지 노출이 이어진 점은 확산 범위를 넓히는 결과로 연결됐다. 행사장에 진입하기 전부터 관람객이 캐릭터 이미지를 인식하는 방식은 이후의 촬영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시각 이미지 기반 IP가 동선 전체로 확장되면, 관람객의 체류 시간뿐 아니라 인지적 노출도 증가한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콘텐츠 IP가 해외 현장에서 수용되는 방식은 사업화와 직접 연결된다. 사진 촬영이 많을수록 온라인 확산이 빨라지고, 노출이 늘어날수록 브랜드 인식 형성의 속도가 향상된다. 이러한 과정은 추후 제품 출시 시 소비자 반응을 예측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캐릭터링크는 현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비자군 설정, 가격 정책, 디자인 요소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현장 관찰은 정량적 데이터로도 이어진다. 게시물 수, 공유 방식, 촬영 위치 정보 등을 정리하면, 이미지가 어느 공간에서 더 효과를 발휘했는지 분석할 수 있다. 캐릭터링크는 협력 도시가 늘어날수록 데이터가 누적되고, 도시별 패턴 차이를 분석할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고 보고 있다.
해외 확장 단계에서 시민 참여 방식은 단순한 반응 기록이 아니라 사업 방향을 검토하는 지표가 된다. 전시 작품이 도시 이미지를 활용한 방식과 결합하면서, 콘텐츠가 소비자 생활권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콘텐츠가 도시와 만나면 수용 방식이 달라진다는 사실이 호치민 현장에서 관찰되었다.
달리인문쉐도우 프로젝트는 실험적 성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실험이 현장에 배치될 때, 관찰 정보는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자료로 전환된다. 호치민에서 확인된 참여 행동은 한국 창작 IP가 글로벌 시장에서 사용되는 방식에 대해 현실적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후원=NH농협 302-1678-6497-21 위대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