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럴과 스테디셀러가 글로벌 시장에서 다시 부상한 이유
[KtN 홍은희기자]2025년 11월 22일자 빌보드 글로벌 200 차트는 놀라울 정도로 다양하다. 최신 음원과 함께 수십 년 전에 발표된 음악이 나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 현상은 단순한 추억 소비가 아니다. 시대를 건너뛰어 다시 사랑받는 곡들의 존재는 현대 음악 시장의 구조를 정확히 반영한다. 스트리밍 시대가 열리며 모든 음악은 시간의 제한을 벗었다. 그리고 그 흐름의 중심에는 캐럴과 스테디셀러가 있다. 세대별로 다른 기억을 가진 청취자가 동일한 플랫폼 안에서 음악을 소비하면서 명곡이 다시 떠오르는 흐름이 뚜렷하다.
이번 주 차트에서 확인된 대표적인 곡은 머라이어 캐리의 올 아이 원트 포 크리스마스 이즈 유다. 18위로 뛰어올랐다. 50주 이상 차트에 머물렀던 이 곡은 연말만 되면 다시 전 세계 스트리밍 차트를 뜨겁게 달군다. 휘트니 휴스턴이나 셀린 디온의 명곡들이 과거의 유산으로 남아 있는 것과 달리 머라이어 캐리의 캐럴은 계속해서 현대 대중문화의 중심에 들어서는 특징을 가지며 여전히 세계 크리스마스 표준 음원으로 소비된다. 왐의 라스트 크리스마스는 이번 주 27위에 이름을 올리며 다시 한번 겨울의 시작을 알렸다. 브렌다 리의 로킹 어라운드 더 크리스마스 트리는 재진입 후 59위에 올랐고, 바비 헬름스의 징글 벨 록도 재진입해 65위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 곡들은 연말 시즌이 시작될 때마다 꾸준하게 상승한다. 특정 국가나 지역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지구적 축제 문화가 정착한 결과다.
캐럴의 힘은 문화적 기능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전 세계에서 동일한 시기에 동일한 감정선을 경험한다는 점이 캐럴을 특별한 콘텐츠로 만든다. 해마다 반복되는 겨울과 기념일, 사람과 사람의 교류가 집중되는 연말 분위기 속에서 캐럴은 배경 음악 이상의 역할을 한다. 일종의 감정적 장치로 기능하며 누구나 알고 있는 정서를 즉각적으로 불러낸다. 재미있는 점은 젊은 세대는 머라이어 캐리의 캐럴을 더 이상 과거 음악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겨울 시즌마다 자연스럽게 재생 목록에 오른다는 점에서 최신 음악과 동일한 소비 흐름을 가진다. 세대 간 음악 격차를 줄여주는 요소가 바로 캐럴이다.
후원=NH농협 302-1678-6497-21 위대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