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율·최은·정천, 혼탁한 시대를 건너는 방식과 청년의 목소리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울림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KtN 김동희기자]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가 던지는 가장 선명한 메시지는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한마디에 응축된다. 조선 중기 경강을 무대로 펼쳐지는 권력과 부패, 생존과 정의의 이야기 속에서 세 인물은 각기 다른 길을 택한다. 과거의 상처를 숨긴 왈패 장시율, 상단을 이끄는 강단 있는 상인 최은, 부패 척결을 꿈꾸는 청렴한 관리 정천. 이들의 선택과 갈등은 단순한 역사극의 요소가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시청자의 감정과 깊이 맞닿는다.

불평등, 권력 집중, 세대의 좌절과 희망이라는 키워드는 한국 사회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공통적인 고민이다. 드라마 속 인물들이 마주한 혼탁한 강물은 21세기의 청년 세대가 직면한 불안정한 현실과 겹쳐 보인다.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장시율, 생존에서 연대로

장시율은 처음에는 단순한 생존자다. 과거의 상처와 신분적 한계 속에서 왈패로 살아가며, 폭력과 어둠을 통해 하루하루를 버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그는 개인적 복수를 넘어 공동체의 정의를 향한 길을 선택하게 된다.

이 과정은 오늘날 청년 세대가 경험하는 현실적 고민과 유사하다. 불안정한 고용, 치솟는 집값, 구조적 불평등 속에서 많은 청년은 생존을 우선시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동시에 사회적 연대와 공동체적 책임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한다. 장시율의 변화를 읽는 청년들은 자신의 현실을 투영하게 된다.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최은, 경제적 성공과 도덕적 책임 사이에서

최은은 상단을 이끄는 강인한 상인으로 등장한다. 그녀는 합법적이고 정당한 방식으로 힘을 키우려 하지만, 현실은 단순하지 않다. 경제적 성공과 도덕적 책임 사이에서 끊임없는 갈등이 이어진다.

이 구도는 오늘날 MZ세대가 경험하는 이중적 상황과 겹친다. 한편으로는 경제적 자립과 성취가 절실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 가치와 책임을 무시할 수 없다. 최은의 모습은 청년 창업자나 자영업자, 혹은 기업 속 젊은 리더들이 느끼는 무게와 닮아 있다. 드라마 속 그녀의 갈등은 곧 현대의 청년 세대가 겪는 윤리적 고민의 은유가 된다.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천, 이상과 현실의 충돌

정천은 청렴한 포도청 관리로, 정의와 원칙을 상징한다. 그러나 그는 끊임없이 제도와 현실의 장벽에 부딪힌다. 상관의 압박과 조직 내부의 부패, 무력한 법의 한계는 이상주의자에게 깊은 좌절을 안긴다.

이는 사회 구조 속에서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흔들리는 청년 세대의 경험과 닮아 있다. 사회 정의를 추구하지만, 불투명한 정치·경제 구조와 거대한 시스템 앞에서 자주 무력감을 느낀다. 정천의 좌절과 결단은 곧 청년 세대가 마주한 질문을 다시 되새기게 한다.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세 인물의 교차점과 세대 공감

세 인물은 서로 다른 길을 걷지만, 결국 인간다운 삶을 원한다는 공통된 목표를 가진다. 생존과 연대, 경제와 윤리, 이상과 현실의 갈등은 모두 오늘날 청년 세대가 직면한 문제와 직결된다.

이 때문에 탁류는 단순한 사극을 넘어 청년 세대의 사회적 감정을 해석하는 문화적 텍스트로 기능한다. OTT 플랫폼이 이 작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공감대 역시 바로 이 지점에 있다. 청년은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을 직접 체감하고 목소리를 내는 세대이기 때문이다.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세대의 거울로 읽히는 사극

탁류는 역사극의 외피를 쓰고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세대 담론을 다루는 드라마에 가깝다. 장시율의 생존에서 연대로의 변화, 최은의 경제와 윤리 사이의 고민, 정천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좌절은 각각 다른 청년 세대의 얼굴을 보여준다.

오늘날의 청년층은 불평등 구조 속에서 생존을 고민하고, 동시에 연대를 모색한다. 경제적 성취를 좇으면서도 윤리적 책임을 묻고, 이상을 지키고 싶지만 제도의 벽 앞에서 무력감을 느낀다. 이 복잡한 감정의 결은 드라마 속 인물들의 길과 교차한다.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디즈니+ 오리지널 사극 드라마 탁류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김동원과 추창민 감독. 사진=K trendy NEWS DB ⓒ케이 트렌디뉴스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극은 흔히 과거를 재현하는 장르로 여겨지지만, 탁류는 현재를 비추는 거울로 작동한다. 이 드라마가 던지는 가장 큰 의미는 역사적 사실의 재현이 아니라, 오늘의 세대가 직면한 질문을 은유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이다.

탁류는 단순히 한국 사극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시도가 아니라, 세대적 공감과 사회적 반영을 담아내는 문화적 실험으로 읽힐 수 있다. 청년 세대가 이 작품 속에서 자신의 삶을 투영하고 공명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탁류는 시대적 가치를 획득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