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계약이 리그를 흔들다

[KtN 신명준기자] 2023년 여름, 리오넬 메시가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 인터 마이애미 CF에 입단했다. 유럽 무대를 정복한 세계 최고 선수의 행선지로 북미가 선택된 것은 단순한 이적 이상의 의미를 남겼다. 당시 팬들은 “커리어의 마지막 여정”으로 해석했지만, 불과 2년 만에 그 계약은 세계 스포츠 산업의 흐름을 바꾸는 사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2024년 메시가 MLS MVP와 골든부트를 동시에 수상하면서 인터 마이애미의 수익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2022년 5천만~6천만 달러 수준이던 연간 매출은 2024년 2억 달러를 돌파했다. 구단의 브랜드 가치는 두 배 가까이 뛰었고, MLS는 전 세계 언론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메시 효과(Messi Effect)’라는 신조어가 탄생한 순간이었다. 하지만 그 찬란한 성과만큼이나, 리그 안팎에서는 “축구가 스포츠인가, 세일즈인가”라는 질문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수익 폭발의 구조 경기보다 브랜드가 움직인다

메시가 입단한 직후 인터 마이애미의 티켓 가격은 평균 1,700% 상승했다. 홈경기장은 매 경기 매진됐고, 애플TV의 MLS 시즌 패스 구독자는 세 배 이상 늘었다. 팬들은 팀의 성적보다 메시를 ‘직접 보는 경험’에 돈을 지불했다. 구단의 유니폼 판매량은 폭발적으로 늘었고, 아디다스·하드록호텔·디올 등 글로벌 브랜드가 스폰서십에 새로 참여했다. 2024년 스폰서 매출은 6억 6,500만 달러에 달해 전년보다 13%, 2022년보다 44% 증가했다. 마이애미의 경제 전반에도 즉각적인 파급이 나타났다. 메시가 출전하는 주말마다 호텔 예약률은 20% 이상 상승했고, 경기장 주변 상점 매출은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지역 관광청 비지트 플로리다는 “메시 경기일 외지 관광객이 30% 이상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스타 한 명이 도시 소비 구조를 움직이고, 그 도시가 다시 리그의 흥행을 견인하는 순환 고리가 만들어진 셈이다.

구독자 전용 기사 입니다.
회원 로그인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