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문화 거점으로서 대학 박물관의 역할을 묻다

[KtN 박준식기자]한서대학교 박물관 연암도서관 5층 인장 전시실은 캠퍼스 속에 조용히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 공간은 한서대학교 내부만을 위한 문화 시설로 머물기를 거부하고 있다. 이재인 명예교수가 평생 수집해 기증한 1,400여 점의 인장을 기반으로 전시가 개최되자, 지역 문화계 인사들이 대거 방문했다. 개막식에 서산장학재단 조규선 이사장, 설화문학관 박태규 관장, 홍주천년문학관 장기욱 관장을 비롯해 지역 기관 관계자들이 모인 사실은 이 전시가 지역 문화자산과 교육자산을 연결하는 거점으로 기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대학 박물관은 학술 기반 위에 자리하는 기관이다. 그 학술적 기반이 지역사회에 개방될 때 공공문화 기여가 성립한다. 한서대학교 박물관이 전문 박물관으로 등록된 2019년 이후 기획전과 특별전을 꾸준히 운영해온 과정은 지역 문화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준비하는 시간이었다. 이번 인장 전시는 그동안 축적된 역량을 시민의 시선에 직접적으로 드러낸 계기가 됐다.

한서대학교 박물관의 이번 전시는 대학의 교육 역할과 직결된다. 인장은 전공 간 융합 학습의 훌륭한 교육 자료다. 전각 방식은 조형예술학과 학생들의 실기 연구 대상이며, 문인 인장은 국문학과의 문학사 교육에 적용 가능하다. 행정 인장에 관한 내용은 법행정 계열과 연동해 제도사 수업 자료가 될 수 있다. 문화재 보존학과를 둔 한서대학교는 인장 재질 관리와 복원 작업을 통해 학생 교육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전시가 박물관이 단순 관람 공간을 넘어 교육 과정의 흐름 속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구독자 전용 기사 입니다.
회원 로그인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