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의 도시에서 트로피 자산 도시로 변신한 마이애미
자산 안전지대라는 이미지 뒤에 자리 잡은 투기 자본 이동의 새로운 중력장
[KtN 김상기기자]마이애미의 초고가 주거 시장은 최근 몇 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공격적인 자본 유입이 이루어진 지역으로 부상했다. 플로리다주의 세제 정책이 투자자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하면서 미국과 해외의 초부유층(UHNWI)이 빠르게 몰려들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세계 부유층 이동 경로가 바뀌기 시작했고, 자본은 규제에서 자유롭고 소비 환경이 풍부한 지역을 선택하는 경향을 강화했다. 기존에 뉴욕과 캘리포니아에 집중되던 자본이 마이애미로 흐르기 시작한 배경에는 단순한 기후 선호 이상이 존재한다.
플로리다주에서는 주 소득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특히 대도시 부유층 사이에서 이전 전략의 주요 동기 중 하나로 작용한다. 부동산 보유세 역시 타 주 대비 완만한 수준으로 유지돼, 다주택 보유 부담이 낮아진다. 세제 환경은 초고가 부동산 가격 상승을 정당화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주식과 기업 지분을 자산 기반으로 갖는 글로벌 부호들에게 세금 절감 효과는 상당한 규모의 직접적 이익을 제공한다. 자본이 머물기 좋은 조건이 확보된 셈이다.
또한 마이애미시는 범죄율 감소와 함께 관광·문화 콘텐츠 확장을 통해 국제 비즈니스 도시로 변신을 시도해왔다. 대규모 컨퍼런스 유치, 국제 금융 허브 구축 전략, 크립토 산업 수용 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해외 자본이 자유롭게 유입될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됐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고가 자산 보유자들은 리스크 분산을 위해 거주지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을 취했고, 마이애미는 그 선택지로 부상했다.
후원=NH농협 302-1678-6497-21 위대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