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직후, UAE를 첫 행선지로 선택한 전략의 실체
[KtN 최기형기자]한국 수출 주력 산업은 지난 수년 동안 관세와 공급망 불안이라는 거대한 압박에 놓였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통상 불확실성을 완화하며 당장 급한 불을 끈 뒤, 다음 전략을 어디에 두는지가 국내외 관전 포인트였다. 이 흐름 속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관세협상 직후 가장 먼저 UAE를 국빈 방문한 결정은 단순한 외교 일정을 넘어, 한국 외교경제 전략의 변화된 방향을 분명하게 드러냈다. 이재명 대통령은 11월 17일 아부다비에 도착하며 7박 10일 일정의 첫 국가로 UAE를 선택했다. 한국 대통령의 중동 첫 일정으로 UAE가 자리 잡았다는 사실은 과거 대비 방향 전환을 보여준다. 미국과의 관계가 한국 통상·안보의 핵심 축인 상황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국익을 지키는 한편, 새로운 성장 동력을 위해 신흥시장 개척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관세 위기가 실제 경제 위기로 번질 수 있는 초입에서, 한국 정부는 국가경제 안정판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그 답을 중동에서 찾았다.
UAE는 한국에게 단순한 자원 공급국이 아니다. 손정의, 구글, 아마존 등 세계 기술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는 인공지능·데이터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고, 군수산업과 에너지 전환 정책 역시 적극적이다. 두 나라는 이미 원전과 방위산업에서 협력 기반을 다져 왔다. 이러한 배경 위에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UAE 방문을 통해 경제·안보·기술·문화까지 아우르는 관계 업그레이드를 시도했다. UAE 대통령실은 한국 대통령에게 공군 전투기 호위라는 최고 예우를 부여했다. 이는 단순한 의전이 아니라 전략적 메시지다. UAE는 ‘가장 신뢰하는 파트너국’에만 이런 형식의 영접을 제공해 왔다. 한국이 중동 지역에서 전략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음을 UAE 스스로 확인한 셈이다.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은 양국 관계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규정하며 장기적 협력 비전을 제시했다. 협력 분야는 크게 네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에너지. 기존 원전 운영 협력에서 재생에너지·수소·스마트 그리드로 확장된다. 둘째, 방산. 판매 중심 구조에서 공동개발·제3국 진출 모델까지 확대된다. 셋째, 반도체·AI. UAE의 산업 전환 전략에 한국 기술을 접목하는 방식으로, 대형 투자가 논의되고 있다. 넷째, 보건·교육·문화. 이재명 대통령은 현지 청년층을 만나 한류 기반 교류를 강화할 의지를 밝혔다. 이러한 종합 협력은 기존 단일 품목 수출에서 벗어나, 산업 생태계 전체를 연결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후원=NH농협 302-1678-6497-21 위대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