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의전부터 제3국 공동진출까지, 이재명 정부의 중동 전략은 ‘선언’이 아니라 ‘실행’
[KtN 최기형기자]대한민국 대통령 이재명은 11월 17일 UAE 아부다비에 도착하며 공식 국빈 일정을 시작했다. 이 착륙 순간에 UAE 정부는 자국 공군 전투기 편대를 띄웠다. 대통령 전용기를 선도하며 공중에서 영접한 모습은 국가 간 관계의 격이 얼마나 달라졌는지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중동국가가 한국 대통령을 위해 전투기를 띄웠다는 사실은 과거 외교 관례를 돌이켜보면 이례적이다. UAE는 자국의 최우선 전략국에게만 공군 호위 의전을 제공해왔기 때문이다. 한미 관세협상 직후 이재명 대통령이 가장 먼저 UAE를 찾았다는 점과, 그를 향한 UAE의 의전 방식은 하나의 전략 신호로 읽힌다. 한국과 UAE 관계는 단순한 경제 파트너십을 넘어선 단계로 이동하고 있다.
정상회담은 이 흐름을 더욱 분명하게 했다. 두 정상은 양국 관계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재확인하고, 그 관계를 항구적이고 불가역적인 수준으로 격상하겠다는 방향을 공개적으로 제시했다. 과거 한국과 UAE는 원전과 방산 협력에서 긴밀했지만, 이번 합의는 협력 범위를 한 차원 넓혔다. 에너지·원전 분야는 기존 운영규모 유지에서 재생에너지, 수소, 에너지관리 인프라까지 확대된다. 방산도 일방적 수출구조에서 공동개발과 제3국 공동진출 방식으로 발전한다. 첨단 산업에서는 AI 데이터센터, 반도체 협력, 우주·항공 기술 프로젝트까지 언급됐다. 문화·교육 교류도 한류 기반 소프트파워 확대 전략 안에 편입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 자리에서 구사한 문장은 한국 외교 전략의 방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재명 대통령은 “백년 동행”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협력의 시간 축을 분명하게 이야기했다. 이 표현은 외교 수사처럼 들릴 수 있지만, 실제 내용은 명확하다. 단기 프로젝트 중심이 아니라, 신뢰 기반 투자 협력 체계를 구축해 미래 성장 동력을 함께 만들어가겠다는 전략이다. 관세와 공급망 위기 속에서 안정적 협력국이 필요했던 한국, 에너지 기반을 첨단 산업으로 전환해야 하는 UAE의 이해가 일치한 셈이다.
후원=NH농협 302-1678-6497-21 위대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