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 대결 틈새 공략하며 한국이 선택한 새 외교무대
[KtN 최기형기자]한국 정부는 최근 G20 정상회의와 MIKTA 정상회의를 통해 단순히 외교 참여 국가에서 벗어나 글로벌 리더로서의 입지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한국 대통령 이재명은 중동 순방을 마치고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 참석했으며, 안보·경제·공급망 중심의 외교패키지를 다변화하는 전략의 완성단계에 진입했다. 한국 정부는 미국·중국이라는 두 거대축의 틈새에서 다변화된 협력과 중견국 역할의 재정의를 현실화하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했다. G20 회의에서 한국은 다자체제 강화, 개방형 무역질서 복원, 디지털·에너지·공급망 분야의 협력 확대를 핵심 의제로 제시했다. 이러한 전략은 관세 리스크를 넘어 중동·아프리카까지 연결된 외교경제 회로를 완성하는 흐름이다.
이재명 정부가 G20을 중요 무대로 삼은 결정적 배경에는 글로벌 경제질서의 재편이 자리한다. 팬데믹 이후 공급망 붕괴, 기후위기, 디지털 격차, 지정학적 불안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면서 다자협력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규칙기반 질서가 흔들릴 때 우리에겐 선택의 여지가 많아져야 한다”는 판단을 세웠다. G20에서 한국은 개방·공정·지속가능성이라는 세 축을 중심으로 의제를 설정했다. 특히 한국은 아프리카·중동을 포함한 글로벌 남반구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조하며, 그간 북미·유럽 중심 외교에서 벗어나겠다는 전략적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 실제로 한국 대통령실은 G20 정상회의 직전 “한국은 다자체제 속에서 책임지는 리더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G20 회의 일정 중 한국과 독일, 프랑스와의 양자정상회담은 주목할 만하다. 한국 대통령은 독일 총리와의 회담에서 “세계 제조업 강국인 양국이 공급망 재편과 친환경 전환에 협력해야 한다”는 인식을 나눴다. 또한 프랑스 대통령과는 한국·프랑스 외교수립 140주년을 앞두고 경제·문화·기술 분야의 전략적 협력을 논의했다. 이들 양자회담은 한국이 외교무대를 단일 지역·기능에서 벗어나 여러 축으로 확장하고 있다는 신호다. G20이라는 다자 테이블에서 한국이 기존의 보조적 위치가 아니라 중견국 간 연대와 조율의 허브로 부상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된다.
후원=NH농협 302-1678-6497-21 위대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