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 속에서도 자생하는 팬덤, 디지털 생태계에서 확산하는 한국 콘텐츠
[KtN 전성진기자]2025년 현재 중국은 여전히 외국 콘텐츠 유통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공식 OTT를 통한 한국 드라마 방영은 차단되어 있고, 방송국 편성에서도 K-드라마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실제 소비 현장은 전혀 다른 풍경을 보여준다. 숏폼 플랫폼, 팬덤 커뮤니티, 비공식 스트리밍이 삼각 축을 이루며 한국 콘텐츠는 중국 청년 세대의 일상 속에 깊숙이 자리 잡았다. 차단과 소비가 동시에 존재하는 이중 구조 속에서 한류는 새로운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아이돌 팬덤의 자생
중국 내 K-POP 팬덤은 제약 속에서도 강력한 결집력을 유지하고 있다. BTS, 블랙핑크, 세븐틴, 아이브 등 주요 그룹의 신곡은 공식 플랫폼에서 차단되더라도 팬덤은 VPN과 해외 계정을 통해 음원을 확보한다. 팬덤 커뮤니티는 조직적 스트리밍과 SNS 홍보를 진행하며, 중국 내에서 자체적인 소비 지형을 만든다.
후원=NH농협 302-1678-6497-21 위대한자
관련기사
- [KtN 기획⑨] 미국, 주류 차트의 무대 — 뉴진스와 블랙핑크가 만든 선례
- [KtN 기획⑧] 일본의 변곡점, BTS의 회귀와 아이브의 신장
- [KtN 기획⑦] 대만의 균형, 팬덤의 속도와 대중의 무게
- [KtN 기획⑥] 홍콩, 차트를 장악한 OST — 가상의 밴드가 현실을 이길 때
- [KtN 기획⑤] 베트남의 이중 엔진, 팬덤이 점화하고 대중이 유지한다
- [KtN 기획④] UAE의 테이블, 요리·사극·로맨스와 법정의 재부상
- [KtN 기획③] 싱가포르의 선택, 다장르 품질이 만든 장기 1위
- [KtN 기획②] 프랑스의 역설, 16만 매진과 낮은 관심이라는 담론 사이
- [KtN 기획①] OST의 반란, IP가 장르를 삼키다
- RM·진·지민·뷔·정국, 560억 브랜드 파워…패션계 중심에 선 BTS
- BTS 지민, 10월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1위… 진·지드래곤 2·3위
- 한국영화의 품격, 박찬욱이 증명했다…‘어쩔 수가 없다’ 청룡 최다 후보
전성진 기자
news@k-trendynews.com
